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

주식 초보를 위한 ‘PER·PBR·ROE’ 완전정복 가이드 숫자에서 시작하는 주식 투자 주식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듣는 말 중 하나가 바로 "PER이 낮네", "ROE가 높아서 괜찮아 보인다"는 말들입니다. 하지만 정작 그 뜻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모르면, 정보는 정보가 아니라 그저 소음일 뿐입니다. 특히 주식 초보자라면 종목을 고를 때 감이나 유튜브 추천만 따라가다 손실을 보기 쉽습니다. 이럴 때 꼭 필요한 것이 바로 '기본적인 투자지표'입니다.PER, PBR, ROE는 가장 많이 사용되고, 또 가장 기본이 되는 3대 재무지표입니다. 이 세 가지를 통해 기업이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 현재 주가가 비싸거나 싼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지표들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기본 도구이며, 각 지표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주식 투자.. 2025. 7. 13.
2025년 세계 경제 트렌드 – 미국, 중국, 한국은 어디로? 세계 경제, 불확실성의 시대 2025년 현재 세계 경제는 '복합 위기'의 한가운데에 서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급격한 경기부양책과 저금리 기조로 인한 유동성 확장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부작용을 낳았고, 각국은 이를 억제하기 위해 다시 긴축정책으로 전환했습니다. 하지만 긴축의 부작용은 만만치 않습니다. 수요 위축, 경기 침체 우려, 글로벌 교역 둔화 등이 본격화되며 세계 경제는 성장보다는 방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형국입니다.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orld Bank)의 2025년 전망에 따르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은 2.9% 내외로, 코로나 이전 평균(3.5%대)을 밑도는 수준입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지정학적 갈등(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불안, 미중 갈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글.. 2025. 7. 12.
고금리 시대, 내 돈은 어디에 맡겨야 할까? 고금리 시대, 다시 돌아오다 2022년부터 세계 경제는 유례없는 인플레이션에 직면했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들은 연이어 기준금리를 인상해왔습니다. 한국은행 역시 기준금리를 3%대 중후반으로 유지하며 통화긴축 기조를 이어가고 있고, 이는 2025년까지도 큰 변화 없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고금리 시대의 진입은 단순히 대출이자만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돈을 굴리는 방식 자체에 큰 변화를 요구합니다.특히 10년 가까이 이어졌던 초저금리 시대에 익숙해진 투자자들은 이제 자산 배분 전략을 새롭게 설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전엔 1% 예금금리로는 자산 증식이 거의 불가능해 주식이나 부동산 같은 고위험 고수익 자산에 눈을 돌렸지만, 이제는 연 4%대 정기예금도 흔한 시점입니다. 고금리 .. 2025. 7. 12.